전체 글(22)
-
CSMA/CA와 CSMA/CD의 차이점
CSMA/CA 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)사용 용도: CSMA/CA는 주로 무선 네트워크(예: Wi-Fi)에서 사용됩니다.작동 방식:캐리어 감지 (Carrier Sense):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이 사용 가능한지 확인합니다.충돌 회피 (Collision Avoidance): 채널이 사용 중이면, 장치는 전송을 시도하기 전에 랜덤한 백오프 시간을 기다립니다. 이를 통해 충돌 가능성을 줄입니다.확인 (Acknowledgment): 전송 후, 송신자는 수신자로부터 데이터를 충돌 없이 수신했다는 확인 응답을 기다립니다.CSMA/CD 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..
2024.06.03 -
CCNA Topology
부분 메시(Partial Mesh) 토폴로지:부분 메시 토폴로지에서는 일부 (하지만 전부는 아닌) 원격 사이트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. 이 구성은 비용과 이중화(중복) 사이의 균형을 제공합니다.주요 사이트 간에 다수의 경로가 존재하여 고가용성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하나의 링크가 실패하더라도, 트래픽을 다른 가능한 링크를 통해 우회시킬 수 있습니다.모든 사이트가 서로 연결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, 풀 메시(Full Mesh) 토폴로지에 비해 비용과 복잡성이 절약됩니다.다른 토폴로지와의 비교:풀 메시(Full Mesh): 모든 사이트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 가장 높은 수준의 이중화를 제공하지만, 많은 수의 연결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듭니다.허브 앤 스포크(Hub and Spoke): 모든 원격 사이트..
2024.06.03 -
네트워크 공부 #3
Autonomous Mode APs : 중앙 컨트롤러 없이 동작하는 AP, 각각 AP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Cloud-based Mode APs : 중앙 컨트롤러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관리하는 것 underlay : 네트워크 인프라 또는 기반 네트워크를 의미 Store-and-Forward : 네트워크 스위치가 프레임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전에 전체 프레임을 수신하고 저장하는 것으로 CRC를 사용하여 오류가 검출되면 프레임을 폐기프레임수신 → 오류확인(CRC) → 포워딩이것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발생하여, 프레임이 폐기되면 수신측 TCP에서 ACK를 송신측에 전달하지 않게 되고, 송신측에서 ACK를 못 받으면 재전송을 요청하는 메커니즘 Cut-Through : 네트워크 스위치가 프레임의 ..
2024.06.02 -
트래픽과 대역폭 #1
트래픽 : 데이터의 흐름과 데이터의 양ex)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브로드캐스트트래픽관리 : Quality of Service, 트래픽 쉐이핑 대역폭 : 특정시간 동안에 네트워크를 통해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양 대역폭 유형유효 대역폭 : 실제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 전체 (물리적 대역폭에서 오버헤드와 프로토콜 제어 정보를 제어한것)가용 대역폭 : 네트워크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(다른 트래픽이 사용 중인 대역폭을 제외한 나머지) 대역폭 관리대역폭 할당 : 특정 트래픽 유형이나 애플리케이션에 대역폭을 할당하는 방법대역폭 제한 : 특정 사용자나 애플리케이션의 대역폭 사용을 줄이는 방법 대역폭의 단위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비트 단위를 사용bps (bit per second): 초당 전송되는 비트 ..
2024.06.02 -
네트워크 용어 #2
Authentication, Authorization, and Accounting (AAA) 프레임워크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올바르게 설명합니다. AAA 프레임워크는 네트워크 보안과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Authentication (인증):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.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결정합니다. 예를 들어,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합니다.Authorization (권한 부여): 인증된 사용자가 시스템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결정합니다. 사용자가 어떤 리소스에 접근하거나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를 제어하는 것입니다.Accounting (회계): 사용자의 활동을 추적하고 기록하는 과정입니다. 사용자가 ..
2024.05.19 -
네트워크 용어 #1
VTP (Virtual Trunking Protocol) : 시스코 스위치 간에 자동으로 VLAN 정보를 전파하는 프로토콜모드 3가지 : (Server 모드(구성가능, 전파함), Client 모드(구성불가, 수신한 정보대로 구성변경됨), Transparent 모드(구성가능. 수신하면 인접장치에 전달만 하고 자신은 적용안함)역할 : VLAN 일관성 유지, VLAN 정보를 네트워크 내에 전파 (VLAN consistency, VLAN information to be automatically propagated)스위치는 각 VLAN에 대해 독립적인 MAC 주소 테이블을 관리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 WLC (WLAN controller) : 중앙 AP 관리 가상컨트롤러LAPs (Lightweigh..
2024.05.12